주가지수 연계상품의 정의, ELS/ELF/ELD의 차이점을 AIA생명이 알려 드립니다.
Real 라이프/Finance | 2013. 2. 15. 15:38 | 트윗하기 |
요즘 새로운 투자 방법으로 뜨고 있는 ‘주가지수연계상품’인 ELS, ELF, ELD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주가지수연계상품으로 요즘 새로운 투자처로 각광받고 있는 대안 투자 상품입니다. 평소 신문 경제면과 주식시장을 눈여겨보는 분들이라면 이런 용어를 자주 접하시겠지만 그렇지 않은 분들께는 비슷한 용어에 비슷한 내용까지, 너무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지금부터 AIA생명이 주가지수연계상품에 대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주가지수연계상품이란 무엇인가요∥
주가지수연계는 영어로 Equity-Linked로 나타내며, 뒤에 증권이면 S(securities), 펀드면 F(fund), 예금인 경우는 D(deposit)가 붙어 각각 ELS(주가지수연계증권), ELF(주가지수연계펀드), ELD(주가지수연계예금)로 분류됩니다.
주가 또는 지수의 변동에 따라 만기지급액이 결정되는 증권(예금, 펀드)으로, 투자자는 만기 시 원금+@ 또는 원금의 일정 비율을 받게 되는상품으로 투자자금의 대부분은 채권투자를 통해 원금을 일정 부분 보장하고 나머지는 주가지수 또는 개별 종목의 등락에 따라 수익률을 결정하는 옵션 등으로 구성된 파생상품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가지수연계상품의 기본 원리는 무엇인가요?
주가지수연계 상품은 일반적으로 투자 원금의 80~90퍼센트 정도의 금액으로 채권에 투자해 만기 시점 투자원금을 확보한 뒤, 나머지 자금으로 위험자산(주식, 원자재, 실물)에 투자합니다.
예를 들어 1,000만 원을 투자한다고 가정 시 투자자금 중 950만 원은 국채 1년물(이자율 5퍼센트 가정)에 투자하고, 나머지는 파생상품(위험자산)에 투자하게 됩니다. 이때 국채에 투자한 950만 원은 1년 후에 약 1,000만 원이 되어 원금을 확보할 수 있고, 나머지 50만 원으로 위험자산에 투자해 만기 시 최소한 원금 이상의 수익률을 얻고자 하는 것이죠. 이렇게 원금을 확보하기 위한 채권투자자금과 원금 이상의 초과 수익률을 얻기 위한 위험자산 투자자금으로 나누어지는 것이 주가지수연계상품의 기본 원리입니다.
그럼 주가지수연계상품의 특징에 대해 알기 쉽게 비교해 볼까요?
구분 |
ELS |
ELF |
ELD |
발행기관 |
증권사 |
투자신탁회사/자산운용사 |
은행 |
판매 |
증권사 |
증권사/은행 |
은행 |
형태 |
증권 |
펀드 |
예금 |
만기수익 |
수익 확정 |
운용성과별 실적배당 |
수익 확정 |
중도해지여부 |
중도환매불가(부분가능) |
중도해지수수료 |
중도해지수수료 |
예금자보호 |
X |
X |
O |
소득과세대상 |
배당소득(종합과세대상) |
배당/이자소득 |
이자소득 |
주요특징 |
원금+고수익 금융상품 |
펀드에 ELS상품 포함 |
원금+최저금리보장 |
∥주가지수연계상품 관련 Q&A∥
Q1.어디서 어떻게 가입을 하나요? |
A.주가지수연계상품은 은행(ELD, ELF)과 증권사(ELS, ELF)에서 판매합니다. 주식시장의 변동에 따라 상품의 구조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대부분 매주 상품이 만들어지며 청약이 가능한기간은 보통 1~2주일입니다. |
Q2. 원금보장 여부와 예금자보호법도 적용이 되나요? |
A. 은행에서 판매하는 ELD는 원금보장과 예금자보호를 동시에 받을 수 있습니다. 원금보장은 상품 구조에 상관없이 만기 시 투자한 원금이 보장되며, 예금자보호는 은행(금융기관) 파산의 경우 원리금 5,000만 원은 보호된다는 의미이죠. ELS와 ELF는 원금보장형 상품은 있지만 예금자보호에서 제외됩니다. |
Q3. 주식형펀드와는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
A.주식형 펀드가 투자한 자금을 펀드매니저가 운용해서 그 결과에 따라 실적을 나누어주는 상품이라면 주가지수연계상품은 가입시점에 수익률 계산식이 명확히 제시되어 사전에 정해진 조건에 의해 채권처럼 수익이 확정되는 상품입니다. |
Q4.주가지수연계상품 가입 시 절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
Q5.만기 이전에 중도 해지하면 불이익은 없나요? |
A. 투자 기간 중 환매는 가능하지만 중도 해지 시 원금이 보장되지 않습니다. 수수료는 기간에 따라 원금의 보통 5~10퍼센트 정도이며, 투자 기간은 1년에서 3년입니다. |
Q6.초보 투자자는 어떤 상품에 어떻게 투자하는 게 좋을까요? |
A. 주가지수연계상품은 구조가 매우 다양한 상품이고 원금보장형과 원금비보장형이 있습니다. 우선적으로 안전한 원금보장형 상품을 선택하여 기초체력을 기른 뒤 고수익을 추구하는 원금비보장형상품 순으로 투자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 분산 차원에서 투자 기간별로 증시 상황에 따라 여러 상품에 나누어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
그동안 예금이나 펀드 중심의 일반적 재테크에만 관심을 기울였다면 이제 다양한 상품에 눈을 돌려 새로운 투자를 시작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자신의 성향과 투자 기간, 전체적인 자산 배분 등 전반적 고려 사항을 감안해 주가지수연계상품도 투자의 한 부분으로 보고. 성급한 판단으로 무리하게 투자를 하기 보다는 믿을 수 있는 재무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안정적인 투자로 소중한 자산을 지키세요!
'Real 라이프 > Fin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시납즉시연금과 월지급식 펀드의 차이점을 알고 노후를 미리 준비하세요! (0) | 2013.06.25 |
---|---|
에코 세대에게 적합한 재무 설계를 AIA생명이 알려 드립니다. (0) | 2013.03.27 |
주가지수 연계상품의 정의, ELS/ELF/ELD의 차이점을 AIA생명이 알려 드립니다. (0) | 2013.02.15 |
[AIA생명]연금저축이란? 개인연금저축 활용법 (0) | 2013.01.30 |
[AIA생명]2013년에는 꼭 알아야 할 '의료실비보험 개정안' (0) | 2012.12.26 |
AIA생명이 소개하는 연령대별로 읽기 좋은 재테크 책 추천! (1) | 2012.11.07 |
댓글을 달아 주세요